1」열량의 단위. 국제 도량형 위원회의 규정에 의하면 1칼로리는 4.1855줄(J)에 해당한다. 이전에는 물 1그램을 1기압하에서 14.5℃에서 15.5℃까지, 1℃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하였다. 기호는 cal.
「2」영양학에서, 식품의 영양가를 열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단위. 1칼로리는 1kcal에 해당한다. 기호는 Cal.
999999999999
냉각탑 1RT 란 3900㎉/H
1」열량의 단위. 국제 도량형 위원회의 규정에 의하면 1칼로리는 4.1855줄(J)에 해당한다. 이전에는 물 1그램을 1기압하에서 14.5℃에서 15.5℃까지, 1℃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하였다. 기호는 cal.
「2」영양학에서, 식품의 영양가를 열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단위. 1칼로리는 1kcal에 해당한다. 기호는 Cal.
1. 국제 냉동톤인 경우
0℃의 순수한 물 1t을 24시간 동안에 0℃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냉동 능력을
의미합니다.
1CGS RT = (79.68×1,000) / 24 = 3,320㎉/H
따라서 국제 냉동톤인 경우 1냉동톤당 필요한 열량은 3,320㎉/H 입니다.
2. 미국냉동톤인 경우
32℉의 순수한 물 1t을 24시간 동안에 32℉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냉동 능력을
의미합니다.
1US RT = (144(BTU/lb) × 2,000lb) / 24 = 12,000(Btu/H)
단위를 환산하면 3.024 ㎉/H 가 됩니다.
3. 냉각탑의 냉동톤인 경우는 1USRT당 3,900㎉/H로 표기 됩니다.
※ 따라서 US냉동톤인 경우 냉동기 대비 냉각탑 용량이 약 1.2배정도 크게 선정됩니
다(흡수식일 경우는 약 2배정도)
*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냉동톤이란..?
실제로 냉동기가 운전되는 조건이나 형태를 기준냉동사이클에서발휘하는 능력으로 환산한 것
을 호칭냉동능력이라 하며, 법규에서(고압가스안전관리법) 법정 냉동톤의 값을 결정하는 기
준으로 쓰이고 있는거으로 사료됩니다.
R = V / C
R : 냉동능력(RT)
V : 피스톤 압출량(㎥/H)
C : 정수
※ 여기서 C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.
R = (V(ia - ie) × nv) / (va ×3320) = C / V에서
C = (va ×3320)/ (V(ia - ie) × nv)
va : -15℃의 건포화 증기의 비체적(㎥/㎏)
ie : 팽창밸브 직전 25℃ 액의 엔탈피(㎉/㎏)
ia : -15℃의 건포화 증기의 비체적(㎉/㎏)
nv : 압축기의 체적 효율
댓글